[Computer Network] 3-2 비연결형 트랜스포트: UDP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connectionless transport: UDP1. UDP(User Datagram Protocol)비연결형 전송 계층 프로토콜주요 특징단순성 - "no frills", "bare bones" => 불필요한 기능 없이 간단한 구조신뢰성 X - Best-effort delivery => 손실, 순서 변경 가능연결 X - Connectionless => TCP처럼 handshake(3-way) 없음독립 처리 - 각 세그먼트는 독립적으로 처리됨 어떤 일이 발생할 수 있을까?세그먼트가 유실될 수 있음세그먼트의 순서가 뒤바뀔 수 있음수신자가 도착 여부를 알 수 없음왜 UDP를 쓸까?스트리밍 앱 -> 약간의 손실은 괜찮지만 지연이 생기..
[Computer Network] 2-6 비디오 스트리밍과 컨텐츠 분배 네트워크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video streaming1. 인터넷 비디오Video = 이미지들의 연속영상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여러 이미지(프레임)를 보여주는 것영화는 보통 1초에 24장(프레임)의 이미지를 보여줌 -> 24 fps디지털 이미지디지털 영상 속의 각 프레임은 픽셀(pixel)로 이루어져 있음.true color: RGB 각각 8비트씩 해서 24비트로 색깔을 표현함.Coding (압축/인코딩)Spatical Redundancy (공간적 중복)한 이미지 내에서 비슷한 부분이 많을 경우비슷한 픽셀들을 압축해서 저장Temporal Redundancy (시간적 중복)연속된 이미지(프레임)들 사이에 비슷한 부분이 있을 경우 (ex. 움직이지 않는 배경)..
[Computer Network] 2-5 P2P 파일 분배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P2P applications1. Pure P2P architectureP2P 구조: 피어(peer)라는 간헐적으로 연결된 호스트 쌍이 서로 직접 통신하는 방식.피어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하지 않고, 사용자들이 제어하는 데스크톱과 랩톰임. 한 피어가 서버 역할을 하기도 하고,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기도 함. 2. File distribution: client-server vs P2Pu_s: 서버의 접속 링크 업로드 속도u_i: i번째 피어의 접속 링크 업로드 속도d_i: i번째 피어의 접속 링크 다운로드 속도F: 분배되는 파일의 크기N​: 파일의 복사본을 얻고자 하는 피어들의 수클라이언트-서버 N개의 피어에게 업로드 속도 u_s로 ..
[Computer Network] 2-4 DNS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DNS1. DNS: domain name system인터넷 호스트에 대한 식별자호스트 네임(hostname) IP 주소  DNS (domain name system)DNS 서버들의 계층구조로 구현된 분산 데이터베이스 (세계 곳곳에 분산해서 갖고 있음)호스트가 분산 데이터베이스로 질의하도록 허락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2. DNS가 제공하는 서비스host name을 IP 주소로 변환호스트 엘리어싱(host aliasing)복잡한 호스트 네임(정식 호스트 네임)을 가진 호스트는 하나 이상의 별명을 가질 수 있음. DNS는 호스트의 IP 주소뿐만 아니라 제시한 별칭 호스트 네임에 대한 정식 호스트 네임을 얻기 위해 이용됨.메일 ..
[Computer Network] 2-3 FTP, electronic mail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FTP1. FTP: the file transfer protocolFTP: TCP로 동작하는 파일을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  2. FTP 제어와 데이터 연결의 분리TCP는 제어 연결을 위해 21번 포트를 사용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20번 포트를 사용한다. 클라이언트가 제어 연결을 통해 커맨드를 전송한다.서버가 파일 전송 커맨드를 받으면 클라이언트에 2번째 TCP 데이터 연결을 연다. 하나의 파일 전송이 끝나고 나면, 서버는 제어 연결을 닫는다. 이러한 FTP의 제어 연결을 out of band라고 하는데, 기존 제어 포트에서 벗어났다고 말한다!FTP 서버는 state를 유지한다. (현재 디렉토리 - 사용자가 어느 폴더에 있는지..
[Computer Network] 2-2 Web and HTTP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Web and HTTP1. HTTP 개요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웹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HTTP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서버 프로그램으로 구현됨.HTTP는 TCP를 전송 프로토콜로 사용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세 TCP 연결 요청 서버는 요청을 수락HTTP 메세지가 브라우저(HTTP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HTTP 서버) 사이에서 교환 TCP 연결 종료HTTP는 stateless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 파일을 보낼 때,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관한 어더한 상태 정보고 저장하지 않음.  2. HTTP 연결RTT(round trip time): 작은 패킷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까지 가고, 다시 ..
[Computer Network] 2-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원리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Principles of network applications1. 애플리케이션 구조클라이언트-서버 구조(client-server architecture)server항상 켜져 있는 호스트고정 IP 주소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접속함.하나의 서버 호스트가 모든 요청에 응답하는 건 불가능하므로 많은 수의 호스트를 갖춘 데이터 센터(data center)를 흔히 사용함. (data center for scaling)serverclient항상 켜져 있지 않아도 됨.IP 주소가 바껴도 상관 없음.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지 않음. 2. P2P 구조P2P 구조(peer-to-peer, P2P)특정 서버를 통하지 않고, 피어(peer)라는 간헐적으로..
[Computer Network] 1-4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 인터넷의 역사)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protocol layers, service models1. ISO/OSI reference model 1. application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 있음. (HTTP, FTP, SMTP)2. presentation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교환되는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3. session데이터 교환의 경계와 동기화는 제공.4. transport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TCP, UDP)5. network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그램(datagram)을 라우팅을 책임짐. (IP, routing protocols)6. link..
[Computer Network] 1-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
본 내용은 컴퓨터 네트워크 - 하향식 접근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1. 구성요소로 본 인터넷인터넷: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개의 컴퓨팅 장치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1. host: 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수많은 컴퓨팅 디바이스들 ( = end system)2. link: host들을 연결하는 매개체. 광섬유, 구리선, 전파, 인공위성 등등각각의 link들은 다양한 전송률(링크 대역폭, bandwidth)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전송률은 초당 비트 수를 의미하는 bps(bit per second)를 이용함.3. packet switch: 입력 통신 링크의 하나로, 도착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 통신 링크의 하나로 그 패킷을 전달함.라우터(router)와 링크 계층 스위치(..